“당뇨병·비만도 이민 비자 거부 사유?” – ‘건강심사’ 강화의 법적 파장

그늘집 0 12 11.07 17:21

b3133e6e3f7fd4088feb0c685bb3f894_1762554
 

“당뇨병·비만도 이민 비자 거부 사유?” – ‘건강심사’ 강화의 법적 파장

“비만·당뇨병·정신질환까지”…美 국무부, 건강 상태 중심 심사 지침 발령

미국 국무부가 전 세계 대사관과 영사관에 비자 심사 시 건강 상태를 중점적으로 고려하라는 새로운 지침을 내렸습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당뇨병, 비만, 심혈관질환, 정신질환 등이 이민 비자 거부 사유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CBS가 11월 6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국무부는 비자 담당관들에게 “신청자의 건강 상태가 미국 내 공공 자원의 잠재적 고갈 요인(‘공적부담’, Public Charge)이 될 수 있다면 입국 자격을 제한하라”고 명시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전염병 여부를 판단하던 기존 건강검진 절차를 넘어, 비전염성 만성질환까지 심사·거절의 근거로 삼겠다는 의미입니다.

‘공적부담(Public Charge)’ 조항의 부활…트럼프 2기 행정부의 법적 확장
이번 지침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추진하는 “공적부담 확대 해석(public charge expansion)”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미 이민법(INA §212(a)(4))은 오래전부터 “공공 지원에 의존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입국 불허 대상으로 규정해 왔습니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 실제 적용은 제한적이었으며, 주로 생활보조금·메디케이드·푸드스탬프 등 직접적인 복지 수혜 여부가 판단 기준이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다시 확장하여, “의료비 부담 가능성 자체”를 공적부담 요건으로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해석을 넓히고 있습니다.

즉, 당뇨나 심혈관질환처럼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 있을 경우, “미국 내 의료비를 감당하지 못할 가능성”만으로도 비자나 영주권이 거부될 수 있는 법적 여지를 만든 셈입니다.

전문가 “의료차별·인권침해 소지 커”…적용 대상은 사실상 영주권 신청자
가톨릭법률이민네트워크의 찰스 휠러 수석변호사는 “이번 조치는 형식상 모든 비자 신청자에게 적용될 수 있지만, 실제 적용 대상은 이민 비자 및 영주권 신청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비자 담당관은 앞으로 다음 항목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신청자 본인의 만성질환 여부(당뇨·비만·암·정신질환 등)

신청자의 치료비 지불 능력

가족 중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 또는 환자 존재 여부

신청자의 나이와 취업 가능성

이는 사실상 질병을 가진 이민자에 대한 ‘의료적 차별’을 제도화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미국 내 인권단체들은 이 지침이 “건강상태를 이유로 한 입국차별(Health-based Exclusion)”로 악용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법률 해설 — “INA §212(a)(4) 조항, 재량적 판단의 위험”
미국 이민법에서 ‘공적부담’ 판단은 전적으로 영사나 이민심사관의 재량에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명확한 진단 기준이나 정량적 지표 없이 비자 담당자가 “치료비 부담 가능성”을 이유로 결격 판정을 내릴 경우, 이의 제기 절차(Administrative Appeal)조차 쉽지 않습니다.

또한, 비자 신청자는 자신이 경제적 자립능력이 있음을 입증하기 위해 보험 증명, 은행 잔고, 가족의 재정보증서(I-864)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이는 저소득층 이민자에게 구조적 불이익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건강정보, 투명하게 관리하되 과잉 제출은 피해야”
현재로서는 지침이 의회의 입법을 거치지 않은 행정명령 수준이므로, 향후 소송이나 인권단체의 제소에 따라 효력이 제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당분간은 비자 신청 단계에서 의료 기록, 보험 증명, 재정 자료에 대한 검토가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유의사항:

건강검진 시 병력이나 복용 약을 숨기면 향후 ‘허위 진술(Misrepresentation)’로 영구 입국금지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불필요한 민감정보(유전질환, 경미한 비만 등)는 의학적 필요가 없으면 제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비자 인터뷰 시에는 “경제적으로 자립 가능함”을 입증할 수 있는 보험·고용·자산 자료를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건강이 비자 심사 기준이 된다면?”

새 지침 주요 질환 목록 (당뇨·비만·심혈관·정신질환 등)

‘공적부담’ 요건의 변천사 (클린턴 → 트럼프 1기 → 바이든 → 트럼프 2기)

건강·재정 관련 심사 항목별 비중

신청자 대응 전략: ▪보험 증명 ▪재정보증서 ▪병력 진단서 관리

그늘집은 케이스를 검토하고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 해 드릴수 있습니다. 다음 계획을 수립하고 추가 사전 조치를 제안할 수도 있습니다. 양식 작성부터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 대해 맞춤형 계획을 세우도록 도와드립니다.

그늘집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변호사분들과 실무 경험이 풍부하시고 실력있는 법무사들이 함께 케이스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그늘집은 극히 어렵거나 실패한 케이스이더라도 성공으로 이끈 경험이 있습니다. 오랜 동안 축적해온 수 많은 성공사례를 슬기롭게 활용해서 케이스를 승인 받아 드립니다.

이민법에 관해 궁금하신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 주십시요.

<그늘집>
www.shadedcommunity.com
gunulzip@gmail.com
미국:(213)387-4800
카톡: iminUSA

 

b3133e6e3f7fd4088feb0c685bb3f894_1762554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로그인"하지 않고 글쓰기 가능 김동욱 2017.01.04 7024
열람중 “당뇨병·비만도 이민 비자 거부 사유?” – ‘건강심사’ 강화의 법적 파장 그늘집 11.07 13
1121 이민국 인터뷰의 재량: ‘불성실 태도’도 거부 사유가 되나요? 그늘집 11.06 48
1120 미군 입대를 생각하고 있으신가요? 그늘집 11.04 64
1119 미국 입국에 문제 있습니까? 그늘집 11.01 87
1118 “미국 입국심사 강화 – 학생·방문자도 노출된 위험” 그늘집 10.31 90
1117 출두통지서(NTA) 발부 확대… “이민국의 재량, 추방절차로 이어질 수 있다” 그늘집 10.30 187
1116 DHS, 취업 허가 자동 연장 종료 그늘집 10.29 198
1115 영주권(I-485) 및 시민권(N-400) 거부의 필수적 사유와 재량적 사유 그늘집 10.28 88
1114 구금·추방 절차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권리 그늘집 10.27 100
1113 EB-3에서 EB-2로의 업그레이드 – “빠른 영주권을 위한 전략적 선택” 그늘집 10.24 155
1112 시민권자 배우자 사면(I-601 WAIVER)을 통한 이민비자 그늘집 10.22 149
1111 취업이민1순위(EB-1A) 강세 속 2순 NIW 승인률 하락세 그늘집 10.21 155
1110 취업이민 진행 중 TUB, 인터파일, 또는 새로운 I-485 제출 그늘집 10.20 133
1109 탁월한 기업가를 위한 O-1 비자로 미국에서 사업 시작하기 그늘집 10.17 183
1108 투자비자(E-2) 사업체 선정, “비자를 위한 투자”보다 “성공을 위한 투자” 그늘집 10.16 207
1107 2025년 11월중 영주권문호 그늘집 10.15 204
1106 미국 입국심사 강화… “신속 추방 명령(ERO)” 발부 시 반드시 알아야 할 법적 절차 그늘집 10.13 181
1105 케이스가 거절되었을때 변호사의 대처 그늘집 10.10 179
1104 F-1 학생, H-1B 수수료 인상 속 ‘희소식’ – COS 신청자 면제 조치의 의미 그늘집 10.09 163
1103 미국 비자 신청 그늘집 10.08 166